삼백안
삼백안은 눈동자가 작아 흰자의 양옆과 위 혹은 아래까지 3군데가 드러나는 눈 모습을 의미합니다.
이러한 눈 모양은 츤데레와 같은 성격으로도 연결되며, 반항적이면서도 실력자의 느낌을 주는 매력적인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러나 관상학적으로는 좋은 인상을 주지 않는다고 합니다.
결막모반: 눈에 생기는 흑점
결막모반은 눈에 생기는 흑점을 의미합니다.
멜라닌 세포의 활성화로 인해 갈색빛의 옅은 느낌의 흑점이 형성됩니다. 결막모반은 자외선에 의해 멜라닌 세포가 활성화되는 결과로 생기기도 하며, 때로는 눈에 상처가 있는 경우에도 나타날 수 있습니다.
다행히 눈 점막 점인 결막모반은 기능상 문제가 없으며 통증도 발생하지 않습니다.
하지만, 외모적으로 보기에는 좋지 않을 수 있으며, 드물게 검은자로 번지면서 통증을 동반할 수도 있습니다. 만약 신경쓰인다면 레이저 치료나 전기 소작술을 통해 제거할 수 있으니 상담을 받아보시기를 권합니다.
사시: 눈의 시선이 다른 경우
사시는 한 쪽 눈이 다른 쪽과 시선이 일치하지 않는 상태를 의미합니다.
한 쪽 눈은 정상적으로 물체를 응시하고 있지만 다른 쪽 눈은 다른 방향을 향하게 됩니다. 이러한 사시 현상은 두 눈 모두 정상적일 수 있지만, 유아의 경우는 콧잔등이 낮아서 눈이 정상적으로 보이지 않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러한 경우에도 사시로 인식될 수 있으며, 자라면서 정상적인 상태로 회복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사시로 보이면서 잠복 사시일 수도 있으므로 진료를 받아보는 것이 좋습니다.
신생아 아기 사시 증상: 선천적 사시
신생아 때 나타나는 사시는 선천적 사시라고 합니다.
이는 태어났을 때부터 사시인 경우로, 생후 6개월 이내에 발생하는 경우를 유아성 사시라고 합니다. 이 경우 초점이 잘 맞지 않아 보이거나 햇볕을 받을 때 한 쪽 눈만 찡그리는 모습을 보일 수 있으며, 고개를 기울여서 물체를 바라보는 모습도 보입니다.
눈사시: 눈의 방향이 다른 경우
눈사시는 눈이 밖으로 퍼지는 외사시, 안으로 몰리는 내사시, 위로 올라가는 상사시, 아래로 내려가는 하사시, 그리고 간헐적으로 외사시가 나타나는 간헐적 외사시로 나눌 수 있습니다.
간헐적 외사시는 후천적 원인에 의해 발생하며, 어린이에서 자주 나타납니다. 이러한 경우 방치하지 않고 적절한 치료가 필요하며, 치료를 제때 받지 않으면 시력 발달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삼백안, 결막모반, 사시, 신생아 아기 사시 증상, 눈사시에 대한 정보를 전해 드렸습니다.
실제로 눈 관련 질환을 의미하며, 개별적인 상황에 따라 진단과 치료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만약 어떠한 증상이나 우려가 있다면 안과 전문의의 상담을 받아보시는 것이 좋습니다.
'건강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갑상선 목막힘 조이는 느낌, 갑상선 결절 혹 크기 부음 증상 (0) | 2023.07.15 |
---|---|
외이도염, 귀바퀴 귀염증 이충만감 귀 진물 염증 원인과 치료 예방 (0) | 2023.07.15 |
근육 찢어짐 통증, 근육이 놀랐을때 어깨 팔 근육 찢어짐 염증 파열 시 조치 방법 (0) | 2023.07.14 |
계속 배고픔을 느낀다면, 천연식욕억제제 식욕 참는법 (0) | 2023.07.14 |
왼쪽 심장 통증, 두근거림 가슴이 답답한 허혈성 심장질환 증상 (0) | 2023.07.14 |